News

Konglish

english_song 2024. 1. 15. 00:24

어제 #영어 를 가르치는 사람으로 재미있는 #신문기사 가 있어서 대충 #번역 했어요.

#직독직해 라 오류 오타 많아요.

가져다 쓸 생각 마세요.

British newspaper “With Corona and Untact both ‘Konglish'”

written by News Dir October 21, 2021

위드코로나와 언택트 모두 콩글리시이다.

 

The Times, a British daily newspaper, is attracting attention by posting news that introduces the current state of language culture in which ‘Konglish’ is prevalent and the government’s efforts to solve it, on the occasion of Hangeul Day in Korea.(우리나라는 #한글날 만 되면 우리말을 사랑하자 어쩌고 저쩌고 하지만 실질적으로 하는 정책은 한 번도 본 적 없다. 중국만큼 모든 단어를 번역하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 다만 #신문기사 에 남발하는 영어, 우리말로 대체 가능한 단어가 있는데도 영어를 쓰는데는 노력을 기울어야 하지 않을까? 그냥 날만 되면 공허하게 외치고 사라지게 하지 말고)

영국 일간지 더타임즈지는, 한국이 한글날을 맞아, 콩글리시가 유행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에 언어 문화의 현재 상황을 소개하는 뉴스를 개제하여 관심을 끌고 있다.

 

The Times published an article titled ‘Konglish is not your best friend’ on the 20th local time, and in a congratulatory speech at the Hangeul Day celebration on the 9th, Prime Minister Kim Bu-gyeom said, “Our words and writings, such as reducing the use of unnecessary foreign languages ​​and reducing technical terms to Korean. We will protect the .”, highlighting the Korean culture of using Konglish.

타임즈지는 ‘콩글리시는 너의 가장 친한 친구가 아니다’라는 기사제목으로 지역 시간 20일에, 9일날 한글날을 기리는 축사에서 김부겸 국무총리는 말했다, “우리의 단어와 쓰기에서, 불필요한 외국어 사용을 줄이고 전문 용어를 한국어로 줄이면서. 우리는 보호할 것이다.” 콩글리시를 사용하여 한국 문화를 강조하며.

 

The Times introduced representative Konglish such as comedians, over-the-counter, i-shopping, best friends, and insa(이 #콩글리시 들은 우리말로 뭐라 하면 좋을까요? 궁금하면 #서점 놀러오세요.), and how these words were made.

더타임즈지는 대표적인 콩글리시인 코미디언즈, 오버더카운터, 아이쇼핑, 베스트프렌즈, 인사와 그리고 이 단어들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소개한다.

 

The newspaper said that not only the coined words made by Koreans by abbreviating and combining English words, but also the Korean pronunciation(기본  체제가 다르기 때문에 비슷하게는 되도, 절대 같을 수 없다. 같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게 오만인 듯), which is difficult to understand in the English-speaking world, is a kind of Konglish.

기사는 영어 단어를 줄이고 합쳐서 한국인들이 단어를 만들었을 뿐 아니라 한국인의 발음에 대해서도 말한다, 영어 사용 국가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일종의 콩글리시인.

For example, ‘Fork’ and ‘Juice’ are also Konglish in the UK.

예를 들어, 포크와 주스는 또한 영국에서 콩글리시이다.

 

The Times showed interest in the part that Prime Minister Kim said, “Hangeul has become the foundation of true communication that protects the country from foreign invasion, overcomes epidemics, creates a world without discrimination, and unites the hearts of all the people.”

타임즈지는 김 국무총리가 말한 일부에 관심을 표했다, “한굴은 진정한 의사소통의 기초가 되었다, 외국의 침입에서 나라를 보호하고 전염병을 이겨내고 차별 없이 세상을 만들고 모든 사람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데 있어.

 

In response, The Times argued that Koreans have developed a nationalistic tendency to purify their words while being ruled by a powerful country.

이에 대한 답으로, 더타임즈지는 힘센 나라에 지배받는 동안 그들의 말을 정화시키는 국가주의적 경향을 발전시켜 왔다고 주장ㅇ했다.

 

During the Joseon Dynasty, official documents we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Japanese names were forced to use Japanese and Japanese nam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fter the Korean War, the English language used by the US military was influenced, the newspaper noted.

조선왕조 동안, 공식적인 문서는 중국 문자로 쓰였고,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어와 일본식 이름을 쓰도록 강요 받았다, 한국 전쟁 후에는 영어가 미군의 영향으로 쓰였다고 신문은 썼다.

 

However, The Times ironically defined ‘With Corona’ and ‘Untact’, which the Korean government uses a lot, as Konglish.

그러나, 타임즈지는 모순적으로 한국 정부가 많이 사용하는 ‘위드코로나’ 와 ‘언택트를 콩글리시로 규정했다.

 

The government is planning to implement with Corona, which means a step-by-step daily recovery policy, from next month.

정부는 코로나와 함께 하는 수단을 계획 중이고, 다음달까지 단계적으로 일상을 회복하는 정책을 의미한다.

 

It is argued that it is awkward to express the phrase living with coronavirus as the Korean pronunciation widcorona and contactless payments as untact.

코로나와 함께 산다는 문구는 한국어 발음으로 위드코로나로, 비접촉식 지불을 언택트라는 문구로 표현하기에 어색하다고 논한다.

 

However, The Times said that many linguists consider such ‘innovation’ as an essential element of language growth and development.

그러나 더타임즈는 많은 언어학자들이 그러한 혁신을 언어가 성장하고 발전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여긴다고 말했다.

 

In particular, The Times evaluated that Korean is moving into another language due to the popularity of Korean food, movies, K-pop, and the drama ‘Squid Game’.

특히, 더타임즈지는 한국어가 한국 음식 영화 케이팝 그리고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인기로 인해 또 다른 언어로 이동 중이라고 평가한다.

 

In addition, the newspaper added that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recently registered 26 new words, including ‘PC bang’ (PC bang), ‘oppa’ (oppa), and ‘mukbang’ (mukbang).

게다가, 신문은 옥스퍼드 영어사전이 피시방, 오빠, 먹방을 포함한 최근 26개의 새로운 단어를 등록했다고 덧붙인다.

https://www.newsdirectory3.com/british-newspaper-with-corona-and-untact-both-konglish/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om Iceland- 36 Bankers, 96 Years In Jail  (0) 2024.02.24
The International Day of Happiness  (1) 2024.01.25
Yuval Noah Harari: the world after coronavirus  (0) 2024.01.16
NFT  (1) 2024.01.15
국제적 망신 위조된 사진  (1) 2024.01.08